각 학년별 학교 교과 표준 진도 상황에 맞춰 출제
※ 출제 범위는 아래 학년 내용까지 모두 포함되며, 세부 내용은 시행 요강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.
GME 차트
GME Chart
1P.I Map
P.I.MAP에서는 각 문항에 대한 세부 정보와 문항별 정답률 및 학생능력 수준 대비 문항의 난이도와 정오 여부를 확인 할 수 있습니다. 문제를 맞힐 확률이 높은 문항일수록 왼쪽에, 어려운 문항일수록 오른쪽에 위치하며, 세로 직선은 학생의 능력수준(G.스코어)를 나타냅니다. 이를 통해 문항의 난이도와 학생의 능력수준을 시각적으로 비교할 수 있습니다.
2학생능력수준과 표준점수
응시생 전체 집단과 해당 학생의 교과 영역별 학생의 능력수준 및 표준점수 비교를 통해 응시생 집단 내에서의 해당 학생의 실제 능력수준과 상대적인 위치를 영역별로 확인할 수 있으며, 이를 통해 부족한 영역에 대한 학습 계획을 수립할 수 있습니다.
3오답률과 문항별 G.스코어
문제를 맞힐 수 있는 확률인 문항별 G.스코어(문항난이도)보다 오답률이 높게 나타나는 문항을 통해, 응시집단 학생들이 실제로 어려워하는 내용이 무엇인지 파악할 수 있습니다. 그와 반대로 G.스코어(문항난이도)보다 오답률이 낮게 나타나는 문항은 학생들이 상대적으로 해당 문항을 쉽게 이해하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.
4문항특성곡선과 문항난이도
문항반응이론 모형식에 의해 계산된 능력수준별로 문항을 맞힐 확률값에 가장 근접하게 그려진 곡선을 문항특성곡선(Item Characteristic curve: ICC)이라고 합니다. 이러한 문항특성곡선의 세로축의 값이 0.5 일 때의 가로축의 값이 각 문항의 문항난이도라고 정의됩니다. 문항반응이론에서는 문항특성곡선을 이용하여 문항들의 난이도를 추정합니다.
5학습전략
학생 능력수준(G.스코어)와 문항별 난이도(G.스코어)의 상대 비교를 통해 학생 개인별 학습 계획과 방향을 수립할 수 있습니다.